Ⅷ. 유통마진
1. 유통마진(marketing margin)의 개념
- 소비자가 유통부문에 지불하는 가격, 즉 제공된 유통서비스의 가격
- 유통마진 = 유통비용 + 유통이윤(상인이윤)
* 유통비용(marketing cost)은 유통기능, 즉 상적유통(거래유통), 물적유통(수송, 저장, 가공 등) 및 조성기능의 수행에 따른 비용
* 유통이윤(marketing profit)은 유통단계에 종사하는 유통기관들의 이윤
- 유통마진 = 소비자 지불액 - 생산자(농가) 수취액
-
유통마진율(%) =
- 유통마진은 유통투입재(marketing inputs)의 가격, 유통효율(marketing efficiency), 유통업자간의 경쟁상태, 최종소비재에 구현된 서비스의 차이 등에 의해 결정됨.
- 유통마진은 유통시스템내의 각 유통단계에서 산출 가능 : 유통마진, 도매유통마진, 소매유통마진 등
2. 유통마진에 관한 이론
1)
기초수요(primary demand, )
- 제품에 대한 수요는 궁극적으로 최종소비자에게서 비롯되므로 제품에 대한 소매수요(retail demand)를 기초수요라고 함
- 기초수요는 최종소비재에 투입되는 모든 투입요소에 대한 결합수요(a joint demand for all the inputs in the final product)
2)
파생수요(derived demand, )
- 최종소비재를 생산하는데 이용되는 투입요소(농산물 등)에 대한 수요로서 기초수요(즉, 소매수요)로부터 유발(파생)되는 수요
- 파생수요는 기초수요로부터 유통마진(marketing margin)을 차감(subtraction)하여 구해짐
- 농산물의 경우 농가(장)수요(farm demand)
3)
기초공급(primary supply, )
- 제품 투입요소(농산물 등)의 공급에 관한 의사결정은 본원적으로 생산자 단계(producer level)에서 이루어지므로 생산자 단계에서의 가격-수량관계(price-quantity relationship)를 기초공급이라고 함
- 농산물의 경우 농가(장)공급(farm supply)
4)
파생공급(derived supply, )
- 최종소비단계, 즉 소매단계에서의 공급으로 기초공급으로부터 파생되는 공급
- 파생공급은 기초공급에다 유통마진(marketing margin)을 합산(addition)하여 구해짐
소매가격
유통마진
생산자 가격
(농가수취가격)
수량
5) 유통마진(marketing margin)
-
유통마진은 기초수요(primary demand, )와 파생수요(derived
demand,
)간의 차이 또는 기초공급(primary supply,
)과 파생공급(derived
supply,
)간의 차이
- 달리 정의하면, 유통마진은 소매가격(retail price)과 생산자가격(농가수취가격, farm price)간의 차이
-
소매가격은 기초수요()와
파생공급(
)이 교차하는 점에서 형성되고, 생산자가격(농가수취가격)은 파생수요(
)와 기초공급(
)이 교차하는
점에서 형성됨
3. 정액마진 및 정률마진
가격
소매가격()
C
도매가격()
B
농가가격()
A
수량
1) 절대유통마진(Absolute Marketing Margin; AMM)
- 상이한 유통단계(생산자, 도매업자, 소매업자 등)에서 두 가격간의 차이
①
유통마진(AMM at farmer level) :
②
소매유통마진(AMM at retail level) :
③
도매유통마진(AMM at wholesale level) :
2) 상대유통마진(Relative Marketing Margin; RMM) 또는 유통마진율
- 절대유통마진(AMM)과 구매가격간의 비율
①
유통마진율(%) :
②
소매유통마진율(%) :
③
도매유통마진율(%) :
3) 총유통마진(Gross Marketing Margin; GMM)
- 절대유통마진과 유통(수)량의 곱(multiplication)으로 산출
-
즉, 총유통마진(GMM) = 또는 면적
4) 순유통마진(Net Marketing Margin; NMM)
- 고정비용(Fixed Cost), 세금(Tax) 및 보조금(Subsidy) 등을 고려한 유통마진
-
순유통마진(NMM) =
4. 유통마진의 변화에 따른 파급효과
1) 새로운 유통서비스의 도입에 따른 유통마진 변화의 영향
- 다른 조건이 동일한 가운데(ceteris paribus; other things being equal) 새로운 유통서비스가 도입되면 유통마진이 증가하며, 유통마진의 변화는 주로 소매가격의 인상으로 반영되는 것이 일반적임
-
기초수요의 변화 : →
-
유통마진의 변화 : →
-
소매가격의 변화 : →
수량
2) 기존 유통서비스의 변화와 관련된 유통마진 변화의 영향
- 기존의 유통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드는 비용의 변화로 인하여 유통마진이 변화할 경우 그 효과는 일반적으로 소매가격과 생산자(농가)가격 모두의 변화를 초래함
- 유통마진의 변화로 인한 소매가격과 생산자가격(농가수취가격)의 변화정도는 수요 및 공급의 가격탄력성(price elasticity)에 의존함
수량
-
유통마진의 증가 →
파생수요의 변동( →
), 파생공급의 변동(
→
) → 소매가격의 변동(
→
), 생산자(농가)가격의
변동(
→
)
- 수요함수가 공급함수보다 비탄력적(inelastic)이라면 유통마진의 증가는 소매가격에 보다 많이 반영되어 소매가격의 인상폭이 생산자(농가)가격의 하락폭보다 크게 나타남
- 반대로 공급함수가 수요함수보다 비탄력적(inelastic)이라면 유통마진의 증가는 생산자(농가)가격에 보다 많이 반영되어 생산자(농가)가격의 하락이 소매가격의 상승보다 훨씬 크게 나타남
→ 농산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공급함수가 수요함수보다 비탄력적이어서 유통마진의 변화분이 생산자가격에 더 크게 반영됨 → 소매가격의 상승보다 생산자(농가)가격의 하락이 훨씬 크게 나타남
- 한편, 유통마진이 하락할 경우는 위와 반대적인 현상이 발생함
5. 식품 마케팅 빌(Food Marketing Bill; FMB)
- 어느 특정기간(보통 1년) 동안 생산된 전체 식품에 대한 총소비지출액중에서 농가수취액을 제외한 부분, 즉
- 유통마진을 국민경제적 관점에서 총량적으로 분석한 개념, 즉 전체 유통물량에 대한 유통마진의 총액
- 식품 마케팅 빌의 증가 요인
① 인구의 증가
② 식품 마케팅 투입요소의 비용 상승 : 임금(노임), 에너지 비용 등
③ 식품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: 보다 간편한 식품에 대한 수요 등
6. 농산물 유통마진율이 높은 이유
1) 농산물의 상품적 특성
- 부패, 변질, 파손되기 쉽다(perishability).
- 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겁다(bulkiness).
- 표준화, 등급화가 곤란하다.
- 생산의 계절성(seasonality)이 강하다.
→ 따라서, 선별, 수송, 저장, 가공, 감모비용 등이 과다하게 소요된다.
2) 유통경로가 복잡하고 유통단계가 다수
- 생산과 소비의 소규모 분산 → 수집 및 분산과정이 길고 복잡하여 유통단계에 많은 중간상인 개재 → 유통비용 증가
3) 유통주체의 영세성
- 많은 중간상인이 영세한 가족경영, 생업적 성격
→ 규모의 경제(economies of scale)를 통한 비용절감 곤란
- 특히 소매기관이 영세하고 비용 과다
4) 농산물 시장에서의 경쟁구조의 불완전성, 농민과 일반 소비자의 거래교섭력(bargaining power)의 저위(低位), 농산물가격의 불안정성에 따른 위험부담 등 → 중간상인의 유통이윤 과다
5) 경제발전에 따른 저장, 가공, 포장 등 유통서비스의 증대 → 유통비용 및 유통이윤 증대 → 농가수취율(farmer's share) 저하 경향
*** 윤병삼님 강의자료
'유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장도매인제에 대한 전문가의견-농수축산신문 (0) | 2006.05.16 |
---|